본문 바로가기
  • 베를린 10년...이제는 함부르크로
독일 생활

독일 생활-독일은 교육비가 무료? 교육편

by BerlinerAZ 2024. 8. 16.
728x90

최근 들어 날씨가 많이 더워.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독일의 교육 시스템이야.

 

이건 자료를 좀 더 훌터 봐야 돼서 포스팅 시간이 늦었어.

 

독일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들어봤어? 단순하게 교육비가 없다. 

이런 이야기 말고 진짜 시스템말이야.

 

여기서는 학교의 인종 차별이나 선생님의 부족등 부정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을 예정이야.

 

독일은 연방 공화국이라 교육도 각 주마다 조금씩 다르게 운영돼.

그래서 주마다 교육 정책이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보면 독일의 교육 시스템은 꽤 잘 짜여 있어.

 

먼저, 아이들이 만 6살이 되기 전까지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같은 곳에서 교육을 받는데,

이 시기에는 주로 사회성이나 기본적인 자율성을 기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독일에서는 만 3세 미만의 아기들이 어린이집(Krippe)에 다니게 돼.

부모님이 일을 하거나 다른 이유로 아이를 돌볼 수 없을 때 많이 이용하지.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사회성을 기르고, 자율성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둬.

그리고 만 3세부터 6세까지는 유치원(Kindergarten)에 가게 되는데,

여기서는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사회성, 언어, 운동 능력 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와줘.

독일 유치원은 굉장히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아이들이 창의력을 발휘하고,

자율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게 특징이야.

 

 

그리고 만 6세가 되면 본격적으로 초등학교(Grundschule)에 들어가게 돼.

여기서 4년 동안 기초적인 것들을 배우지. 

 

독일에서는 만 6세부터 10세까지, 그러니까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초등학교(Grundschule)에 다녀야 해.

 

이건 의무라서 모든 아이들이 다 다니게 돼.

 

728x90

 

이 기간 동안 아이들은 읽기, 쓰기, 수학 같은 기본적인 과목들을 배우게 되지.

독일의 초등학교는 주로 공립학교고, 비교적 모든 학교에서 비슷한 커리큘럼을 제공해.

 

초등학교의 주요 목표는 아이들이 학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는 거야.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친구들과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지,

규율을 지키는 방법 같은 것도 배우게 돼. 평가도 성적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 성적과 교사의 추천에 따라 다음 단계의 학교로 진학하게 되는 거지.

 

초등학교를 마치면 학생들은

5학년부터 10학년까지 중등 교육 과정(Sekundarstufe I)에 들어가.

 

독일의 중등 교육은 크게 세 가지 학교 유형으로 나뉘어.

 

하우프트슐레 (Hauptschule)는 주로 실무적인 교육을 강조하는 학교야.

5학년부터 9학년이나 10학년까지 다니게 되고,

졸업 후에는 직업 훈련을 받거나 특정 직종으로 바로 진출할 수 있어.

 

레알슐레 (Realschule)는 Hauptschule보다 좀 더 학문적인 교육을 제공해.

5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과정을 포함하고, 졸업 후에는 직업 교육 기관이나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어.

경우에 따라 고등학교(Gymnasium)로 전학할 수도 있고.

 

김나지움 (Gymnasium)은 가장 학문적인 학교 유형으로, 5학년부터 12학년 또는 13학년까지의 과정을 제공해.

Gymnasium을 졸업하면 아비투어(Abitur) 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이 시험을 통과하면 대학교에 진학할 자격을 얻게 돼.

 

중등 교육 기간 동안 학생들은 다양한 교과목을 배우게 되는데, 특히 외국어 교육이 중요해.

독일 학생들은 대개 영어를 첫 외국어로 배우고,

7학년이나 9학년부터는 제2외국어를 선택할 수 있어.

 

이런 중등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능력과 성향에 따라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해 줘.

하지만 너무 이른 시기에 진로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비판도 있어.

 

한면에선 진로를 일찍 결정하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공부하며 교육을 받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다른 면에서 너무 이른 시기에 자신의 평생 직업을 결정하는 게 

옳은 일이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많아.

 

나도 처음엔 본인의 직업을 너무 이른 시기에 결정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했지.

그런데 더 많은 비율로 자기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더라고...

 

어제 @스레드에서 누군가 이런 이야기를 하더라.

 

독일엔 일명 교육금수저가 있다.

 

 

자기가 만난 이공계 박사들은 집안이 부자이거나 부모님이 이공계박사라는 거야.

 

맞는 말이야. 직업은 부모로 부터 오는 게 맞거든. 

 

독일인의 성(이름)은 종종 그 사람의 직업, 출신지, 지리적 특징, 신체적 특성 또는 조상과 관련된 유래에서 오는 경우가 많아.

 

우리가 흔히 아는 성씨중에서 보면(현대 사회에 와서 이름 따라가는 경우는 거의 없긴 하지만)

많은 이름들이 조상의 직업에서 부터 나온 것이 많아.


뮐러 (Müller)"방앗간 주인" 또는 "밀러"라는 뜻.

방앗간에서 일하거나 방앗간을 운영하는 사람을 의미.

독일에서 가장 흔한 성 중 하나.

슈미트 (Schmidt)"대장장이"라는 뜻.

독일어권에서 매우 일반적인 성.

슈나이더 (Schneider)"재단사"를 뜻.

옷을 만드는 사람들을 지칭.

피셔 (Fischer)"어부"라는 뜻.

물고기를 잡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나타냄.

바우어 (Bauer)"농부"라는 뜻.

농사를 짓는 사람들을 의미.

베커 (Becker)"빵 굽는 사람" 또는 "제빵사"를 뜻함.

 빵을 굽는 직업과 관련이 있습니다.

마이어 (Meyer)"농장 관리자" 또는 "관리인"이라는 뜻.

직업 또는 지위에서 유래된 성씨로, 큰 농장이나 영지를 관리하는 사람들을 의미했습니다.

 


그렇게 아이들은 부모를 보고 자라는 거지.

 

한 면에서 당연한 이야기야. 부모님과 지낼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은 건 맞거든.

 

한국사회는 학교가 정해준 또는 정부가 정해준 다음 과정의 학교로 진학을 하고

학원에서는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아이들을 가르치지.

 

예전에 우리때만 해도 모두가 대학을 가야 하는 분위기는 아니었거든.

근데 내가 대학 들어갈때 쯤 21세기가 시작되기 전부터 

이제 대학은 필수 교육 과정인양, 대학 나와야 취업할 수 있다는 풍조로 많이 바뀌어 갔어.

 

물론 한국 사회 특성상 한번 물타면 그게 맞는 말이 되잖아.

그래서 나나 너나 할것 없이 모두가 대학을 가는 풍조가 되었지.

 

그러면서 고졸은 숨어 살기 바쁜 거야. 사실 고졸인 학생들도 상당히 많고,

또 자기 직업군에서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고졸이라는 한마디가 사람을 우주의 먼지로 만들어 버리지.

 

미안.. 말이 좀 길었네.

 

각설하고 독일의 교육시스템으로 돌아 가보자.

 

중등 교육을 마친 후, 학생들은 중등 교육 II (Sekundarstufe II)으로 진학할 수 있어.

 

중등 교육 II는 크게 두 가지 경로로 나뉘어.

아비투어 과정 (Abitur): Gymnasium을 통해 12학년 또는 13학년까지 공부한 후,

아비투어(Abitur) 시험을 치르게 돼. 

이 시험을 통과하면 대학에 진학할 자격을 얻게 되는 거지.

아비투어는 독일의 대학 입학 자격시험으로, 특정 과목의 시험을 통해 점수를 얻고,

이 점수는 대학 입학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해.

직업 교육 과정 (Berufsausbildung): 독일의 직업 교육 시스템은 굉장히 체계적이어서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어.

Realschule나 Hauptschule를 졸업한 학생들은 직업 교육 기관(Berufsschule)에서 이론 교육을 받고,

동시에 기업에서 실무 훈련을 받게 돼.

이 과정은 이론과 실무를 병행하는 듀얼 시스템(Duales System)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주일 중 며칠은 학교에서 이론을 배우고,

나머지 시간에는 실제 기업에서 일을 하면서 실무 경험을 쌓는 거지.

이 과정은 보통 2년에서 3년 반 정도 소요되며, 성공적으로 마치면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로 인정받게 돼.

 

 

아비투어를 통해 대학 입학 자격을 얻은 학생들은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어.

독일의 대학교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어.

 

보통 고등교육(Hochschule) 과정이라고 하지.

종합 대학교(Universität)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와 교육을 제공해.

특히 박사 과정까지 연구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학문적 자유와 연구 활동이 중요한 특징이야.

 

사실 독일에서 종합 대학교는 간다는 것은 박사가 되기 위함이 더욱 커.  단순히 취업을 위한 학교는 아니라는 거지.

그래도 외국인들은 종합대학교에서 학사 혹은 석사까지 마치는 게 취업에 도움은 되긴 해.


응용과학 대학교 (Fachhochschule)는 실용적인 교육을 주로 제공해.

여기서는 기술, 경영, 디자인, 사회복지 등 다양한 실용적인 분야에서 실무 중심의 학문을 배우게 돼.

학문적 이론보다는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두는 거지.

 

한국의 전문 대학교와는 조금 다른 교육시스템이야. 한국도 취지는 비슷하긴 하지만.

한국의 모든 전문대학이 해외에서 학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술 및 음악 대학 (Kunst- und Musikhochschule)들은 예술가나 음악가를 양성하는 전문 교육을 제공해.

미술, 음악, 디자인 같은 창의적인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게 돼.

독일의 대학교 교육(hochschule)은 보통 학사(Bachelor), 석사(Master), 박사(Ph.D.) 과정으로 나뉘어 있어. 

학사 과정은 3년에서 4년 정도 소요되고, 

석사 과정은 1년에서 2년, 이후 박사 과정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어. 

 

대부분의 독일 대학교는 공립으로 운영되며, 교육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거나 무료인 곳이 많아.

 

학기마다 200-400유로 정도의 등록금이 라게 있긴 해. 

 

썰을 잠깐 풀자면 독일 오고 2년쯤 지나서 독일 대학생을 알게 돼서 이야기하던 중에

 

"독일은 대학교가 무료여서 좋겠다."라고 했더니

 "무슨 소리야. 우리도 돈 내고 다녀. 그리고 그 돈도 비싸. 학교가 왜 이렇게 돈을 많이 받아?"

그러는 거야. 그래서 나는 사립이나 공립인데 학교에 수업료가 있나 보다 했지.

"1년에 얼마나 내는데?"

"1학기에 230유로!!!, 너무 많이 낸다고 생각하지 않아? 진짜 미쳤어. 돈 없으면 공부도 못해."

 

그래 맞아. 우리가 보기엔 너무 저렴하지. 

 

근데 독일인의 시선으로 보면 그렇지 않은 거야. 저 230유로에 교통권이며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데도.

 

2000년대 초반 독일은 대학교육을 유료화로 전환하고자 했었어.

 

그때 베를린을 시작으로 거의 전국구 학생운동이 일어났지. 

 

슬로건은 "교육에 대한 평등보장"이었어. 돈 많은 집 사람들만 고등 교육을 받을 순 없다는 게 그들의 목소리였어.

그래서 대학교를 점거했고, 경찰들은 강제 해산 시키려 했지. 

학교 측은 대학은 공부를 위한 곳이며, 수업이 없을 땐 강의실을 사용할 수 없으니

강제해산은 위법하지 않다는 내용으로 학생들을 강제 해산 시키려고 하자,

 

교수들이 나서서 24시간 매일 학교에서 수업을 하며, 학생들의 시위를 도와줬고,

정치권에서는 당연히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평등, 누구나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내세워.

 

교육 유료화 움직임을 차단해 버렸어.

 

아무튼 그래서 독일의 고등 교육은 현재까지도 학비가 무료인 곳이 대부분이야.

일부 사립 대학은 비싼 등록금과 학비가 여전히 남아있긴 해.

 

다음으로는 평생 교육 및 직업 훈련이 있어.

 

독일에서는 정규 교육 과정 외에도 평생 교육과 직업 훈련이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져.

 

성인 교육 기관인 VHS(Volkshochschule)에서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강좌를 제공하고,

직장인들은 이곳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기존 기술을 향상할 수 있어.

 

직업 훈련 프로그램은 기업과 직업 교육 기관이 협력해서 진행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직장인들은 필요한 특정 기술이나 자격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돼.

이런 훈련은 독일 경제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독일의 교육 시스템은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 경로 덕분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있어.

 

조기 진로 결정: 독일에서는 초등학교를 마친 후 비교적 이른 시기에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해야 해.

이게 일부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이 될 수 있지.

게다가 부모의 사회적, 경제적 배경이 학생의 교육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어.

이렇게 되면 사회적 불평등이 교육에서 반영될 위험이 있어.

 

이주 배경 학생의 통합: 독일이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이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어.

이 학생들이 독일의 교육 시스템에 잘 통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큰 과제야.

언어 교육과 문화적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여전히 개선할 점이 많은 상황이야.

 

디지털 교육: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독일도 교육 시스템에서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어.

하지만 아직도 일부 학교에서는 디지털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이 부분은 앞으로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할 것 같아. 

 

그래서 독일이 최근 교육의 디지털화를 위해 예산을 8조 원을 책정해서, 교육 디지털화를 가속화할 전망이야.

 

어때 오늘은 독일의 교육에 대해서 이야기해봤는데, 아주 자세하게 들어가진 않았어. 

 

독일의 교육 시스템은 어떤 지에 대한 겉핡기 수준이라고 봐주면 될 것 같아.

 

그래도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교육 수준과 저렴한 학비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더할 나위 없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생각을 하게 돼.

 

나도 학생 때 독일에 공부나 하러 올걸 이라고 하기엔 그때는 너무나 옛날이다. 

 

 

 

그리고 글 다 읽고 아래쪽 하트(공감)

한 번씩 눌러 주면 감사해.

 

댓글까지는 바라지 않을게.

 

소통은 @Threads에서 하자구!!

스팔은 자유

 

 

 

Threads의 Choontaek Lee(@choon32_leee)님

베를린에 살아. 🇰🇷🇺🇸🇩🇪🇩🇰🇮🇹🇪🇸🇱🇺 🇷🇺🇧🇼🏴󠁧󠁢󠁥󠁮󠁧󠁿🇪🇪🇨🇿🇫🇮🇨🇭 🇱🇷🇲🇾🇹🇼 🇯🇵 스팔은 자유, 맞팔은 의무 해외 생활에서 서로 돕

www.threads.net

 

 

 

혹시 더 궁금한 거 있으면 알려줘. 포스팅할게.

 

 

728x90